소비자 입장에선 그저 신나지만, 어두운 면을 생각해보면 그동안 안드로이드폰에 공들인 돈에 비해 얼마나 건진게 없으면 결국 버티다 두손 드는구나 싶다. 다만 이 시점에서 불쌍한건 LGT뿐...
SKT에서는 애초부터 AS문제(?)만 해결 되면 충분히 도입의 여지는 있다고 도망갈 구멍을 파놨었는데, 과연 KT와 AS가 어떻게 차이날지도 기대된다. 분해 수리나 파츠별 교체같은 내용이라도 강력하게 어필했을런지? 근데 과연 애플이 그런 요구를 들어줬을까? 아마 안될거야.
올 상반기 미국에서 버라이즌 아이폰이 이슈였는데, 한국에서는 SKT 아이폰이 한동안 뜨겁겠네.
이 차트는 많은 것을 말하고 있다. 예를 들자면 "다른 캐리어에 비해 AT&T 사용자들 가운데 안드로이드 사용자가 차지하는 비중이 다른 통신사에 비해 극히 낮은 이유는 아이폰 때문일까?" 등에 대해서 말이다. 더 크게 보면 스마트폰으로 갈아타기 위해 많은 사람들이 빠져나갔다는 것이다.
이런 부분은 우리가 놓치고 있었던 사실이다. 버라이즌 아이폰이 발표된 후에 작성된 아이폰/안드로이드 에 대한 사용자 질문지를 보며 곱씹어 보자.
1. AT&T의 극히 낮은 안드로이드 점유율이 아이폰이라는 다른 선택권이 있기 때문일까? 혹은 단순히 AT&T가 안드로이드에 대해 극히 후진 라인업을 갖추고 있기 때문일까? (아이폰 유저가 아닌 사람들이 다른 스마트폰 구매 희망자들에 비해 AT&T를 더 피하는 걸까?)
2. 다른 통신사들의 안드로이드 폰 유저들 비율이 그렇게 높은 것은 안드로이드 폰들이 해당 통신사들이 갖고 있는 가장 좋은 옵션이어서일까? (달리 말하자면 이렇게 물을 수도 있다. 해당 통신사들의 라인업에 아이폰이 있었다면 얼마나 많은 안드로이드 유저들이 아이폰을 골랐었을까?)
BGR의 기사에 따르면 iOS 4.3에서는 캐리어에 상관없이 모든 아이폰이 개별 핫스팟 기능을 갖게 될 거라고 해. 그리고 우린 버라이즌이 이미 떠벌여 놓은 사실을 알고 있지. 이런 마당에 AT&T는 이제 무슨 말을 할까?
아마 개별 핫스팟 기능은 캐리어 서포트를 필요로 할게 확실해. 무슨소리냐면 AT&T가 개별 핫스팟 기능을 거부할 수도 있다는 거야. 아무튼 개별 핫스팟 기능은 버라이즌이 설명한 대로야. 디바이스 다섯 대 까지 아이폰 3G데이터로 와이파이 핫스팟에 접속시킬 수 있어. BGR에서 취재한 대로라면 iOS 4.3은 아마 3월에 나올 듯 해. 아마도 아이폰 5가 나오기 몇달 전이겠지… 어??!!?!?!!?
(please visit here if you have fan speed issue of mac mini late 2006)
요약하자면 바로 대화컴퓨터 직원님의 실수... 였다. 맥미니 살때 메모리 업그레이드를 좀 부탁드렸는데 그때 까먹고 온도 센서와 팬이 연결되는 커넥터 연결하는 것을 잊어버린 것. 덕분에 3년간 맥미니 소음에 좀 시달려왔음. 아무튼 문제를 알았으니 이젠 해결할 시간이지. 그래서 무작정 맥미니를 뜯기 시작했다.
T-Mobile은 미국에서 가장 큰 4G네트워크를 자랑하는 회사이다. 버라이즌은 4G LTE네트워크를 올해 말 발표할 예정이고 스프린트는 자사의 4G 와이맥스에 대해서 선전하는걸 즐긴다. 문제는 얘네들이 전부 진짜 4G가 아니라는거다.
4G는 누가 결정하는가?
어떤 기술이 표준처럼 보이는지를 공표하는 크고 아름다운 국제 기구가 아주 많이 있는데, 3G/4G가 발표될 때 관여한 주요 그룹은 아래와 같다:
-국제 통신 기구(ITU)는 UN산하 기구로 다른 것들 사이에서도 특히 국제 통신 표준을 정하고 있다. 얘네들은 최종적으로 무선 통신 규약이 3G/4G인지, 혹은 9000G같은 종류인지를 결정한다. 4G 네트워크 기술은 IMT-Advanced라고 알려져 있는 본 기구가 규정하는 일련의 규약을 만족시켜야만 한다.
-3GPP(3세대 파트너십 프로젝트)는 원래 3G네트워크 기술을 같이 개발하던 일련의 통신사 표준 기구이다. 이 기구는 GSM운용사가 3G커뮤니케이션을 가능케 하는 UMTS(통합 모바일 통신)표준을 개발하기도 했다. 이녀석들은 AT&T가 이주할 예정인 차세대 GSM 무선 네트워크인 LTE에 관여하고 있기도 하다.(이 부분에 해선 우리가 이미 작성했던 CDMA vs. GSM 입문서를 읽어 보기를 강력 추천한다)
-우리가 무선 공유기를 살 때마다 듣는 흔한 규격 이름이 바로 802.11이다. 이 뜻을 알 수 없는 해괴한 숫자는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 표준 규약인 IEEE 802.11을 뜻하는 동시에 규약 기구의 이름이기도 하다.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는 많은 일을 하진 않지만, 그들의 주요 역할 중 하나가 기술 표준을 정하는 것이다. 우리가 익히 알고 있는 대도시 무선 네트워크 WiMax가 IEEE 802.16이 정한 대표적 기술 규격이다.
이런 "4G"중 진짜 4G는 없다
미국에서 현재 4G를 서비스중이라고 말하는 캐리어 중에는 아직 정말 4G를 구현한 곳은 없다. 스프린트는 WiMax를 밀고 있고 AT&T랑 버라이즌은 LTE를 밀고 있다. 그리고 T-Mobile은 HSPA+를 밀고 있다. 그리고 이 기술 모두가 3Mbps~12Mbps로, 우리가 현재 잘 써먹고 있는 3G에 비해 월등히 빠른 속도를 보이고 있다. 하지만 ITU대변인이 필자에게 얘기한 사실은 아래와 같다. "사실은 IMT-Advanced(4G)시스템은 실전 배치 될 단계가 아니에요." 그리고 가트너 애널리스트 Phil Hartman에 따르면, 캐리어들이 으레 말하는 "4G 네트워크"라는 것은 실상 완전히 마케팅용으로만 써먹고 있는 용어라고 한다.
ITU는 실제로 6개의 기술 후보군을 검토한 후에 최근에야 어떤 것이 "진짜 4G"인 IMT-Advanced에 사용될 기술인지 결정했고 그 승자는 LTE-Advanced(LTE Release 10)과 WiressMan-Advanced(802.16m 혹은 WiMax Release 2라고 알려져 있기도 한)이다. 다시 말해서 오늘날에 쓰이고 있는 LTE의 다음 버전과 WiMax 두 가지가 선정된 것이다. 같은 연구기관에서 개발한 전세대 기술에서 파생된 LTE-Advanced와 WiMax Release 2는 각각 선대 기술의 명칭을 이어받고 있으며, 4G네트워크는 기술적인 레벨에서 기존과는 "제법 다르다"는 것이 Hartman의 설명이다.
LTE의 최고 전송속도 300Mbps와 WiMax의 최고속도 72Mbps가 그냥 커피라면, "진짜 4G"는 티오피다. Hartman은 현재의 4G는 10-15년 후에 우리가 경험할 4G에 비교할 바가 아니라고 한다. 이 글을 읽는 여러분은 이미 무선 랜으로 기가비트를 이야기하고 있으며(역자 주: 아마도 802.11n), 100Mbps(기가비트)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굴리기에 충분한 속도이다. 달리 말하자면 진짜 4G는 지금보다도 까마득하게 앞서 나간다는 이야기다. 조금 더 하자면 기존 LTE 스펙에는 표준안이 포함되어 있지 않지만, LTE-Advanced는 음성 최적화 표준도 있다.
진짜 4G의 목표는 기본적으로 통합 국제 네트워크에서 엄청나게 빠른속도를 구현하는 공용기술의 개발이다. 지금 현재와 근미래에는 여지껏 사용했던 기술에서 제법 발전할 것은 확실하다. 하지만 아직 진짜 4G는 없다.